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2

미디용어 정리 - 폴리포니, 모노포니, 포르타멘토, 레가토 오늘은 컴퓨터 음악의 대명사가 된 MIDI 용어 중 몇가지를 정리해 봅니다. 혹시 이 용어가 무슨 뜻인지 모르셨던 분이 있다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_^==========================================================폴리포니 (polyphony) - 동시 발음 수.악기가 동시에 소리낼 수 있는 음의 갯수를 말함. 모노포니 (monophony)- 동시 발음 수가 1인 경우를 말함. 기본적으로 Reason의 악기들은 폴리포니 악기이며, 각 악기의 Poly 설정을 1로 바꾸면 모노포니 악기가 됨. 레가토- 한 음에서 다음 음으로 넘어갈 때 뒤에 나오는 음을 어떻게 소리를 낼 것인가?의 문제에서 음의 어택 부분을 제외하고 이어지듯 소리를 내는 것을레가토라고 한다.신스.. 2015. 12. 8.
정확하다? 적확하다? 오늘 윤태호 작가의 웹툰 '미생' 시즌2 웹툰을 보는데그 안에 인물의 성격을 이야기하면서 '적확한' 언어의 사용을 중요시한다는 부분이 있었습니다.그런데 댓글들에 오타라며 해당 부분을 지적한 글들이 눈에 보이더군요사실 정확하다와 적확하다는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정확하다는 우리가 많이 쓰는 표현이니 따로 설명이 필요없는 용어일 겁니다.그렇다면 적확하다는 무슨 뜻일까요?'적절하고, 정확하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 합니다.무엇이 딱 맞는걸 정확하다 라고 표현한다면 어떤 상황에 적절히 잘 들어맞는 표현을 하는 경우에는 '정확하다' 보다는 '적확하다'가 더 옳은(?) 표현입니다.고로 웹툰의 대사는 문제가 없는 적확한 표현입니다. 이런 맞춤법 지적을 보고 있자니 얼마전 신문 기사에 실렸던 어이없는 .. 2015. 12. 8.
응답하라 1998은 왜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나? 응팔 신드롬의 비밀 응답하라 1988이 인기 고공행진 중이다.과연 이 드라마의 매력은 뭘까? 지난 응답1994, 1992도 대 성공을 거둔 전력이 있어 화재성 자체가 꽤 높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시청자들이 얼마나 확실한 사람들인데, 단지 화재성만을 가지고 꾸준히 시청을 할까? 출연진의 상당수는 예전 시리즈와 겹치는 출연자이고, 젊은 연기자들은 대부분 신인이거나 숨은 고수들 매번 시리즈의 시작 때마다 새로운 연기자의 기용은 우려를 낳았지만, 매번 그들의 선택이 옳았음을 증명했고 그것은 스타탄생으로 이어졌다.그리고, 그런 선택은 이번에도 역시 옳았다.연기자들의 짜임새 있는 호연은 이 시리즈를 힘을 가질 수 있게 만들었고, 그것이 시리즈의 성공을 이끌었다고 본다.복고, 향수에 대한 호응이 시리즈 성공의 원동력이라는 분석기사도 읽.. 2015. 12. 7.
K팝스타 시즌5 3회분 시청평 - 어차피 우승(?)은 유제이 Sophie Han (소피한)좋은 목청을 가졌으며 발성도 꽤 좋다. 누군가에 배우지 않았을 것 같은데도. 당연히 합격할만하다. 아직 음정이나 리듬을 타는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이 살짝 보이지만, 극복가능할 것으로 보일 정도로 가진 것이 있다는 게 보인다.황민영오디션의 전형적인 보컬 스타일에서 벗어난 연주를 들려준 참가자 상당히 노련함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단계를 넘어가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예상이 가장 안되는 참가자 그만큼 극도로 절제를 한 것으로 보이는 라운드김영은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이지만 가진 목소리 하나만으로도 합격할 참가자 심사위원들이 딱 좋아하는 타입의 보이스를 가졌다.관건은 앞으로 얼마나 음악적인 부분의 발전을 가져오느냐 아마도 아주 음치만 아니었으면 합격시켰을거다. 시즌3 였나? 그.. 2015.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