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및 강좌/미디, 음악 관련 Tip,정보

헝그리 제로레이턴시 큐모니터링 만들기

by 주니(Jun-E) 2012. 3. 30.




스튜디오 그레이드의 작업에선 이런 방법을 사용할 이유가 없고 (각종 아웃보드를 이용해 좋은 퀄리티의 모니터링 구축이 가능하고, 프로툴 HD라도 있다면 뭐 그냥 해결이다) 혹여, 그냥 개인 작업실에서 작업을 하시더라도, 8체널 오됴인터페이스를 사용하시고 외장 리버브가 있으신 분들은 적절한 라우팅을 이용해서 모니터링을 구축하면 되겠습니다. (이 세팅은 사용하는 기기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이 생길 것이므로 여기선 논외로 합니다.)


저를 포함한 취미유저지만, 뭔가 좀 괜찮은 모니터링을 해 보고프다 하는 갈망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서 간단한 팁을 적어봅니다.


이 팁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1)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인/아웃이 4개 이하이다. (고로 이런저런 라우팅을 할만한 건덕지가 없다ㅜㅜ)

2) 외장 리버브는 있으면 좋지만, 돈이 없다.ㅜㅜ

3) 이럼에도 불구하고, DAW의 모니터링은 레이턴시땜에 짜증이난다. (민감한 연주자에게 레이턴시는 쥐약과 같습니다..^^)


고로 헝그리 팁이 되겠습니다..ㅎㅎ (전 위 3가지에 모두 해당됩니다. AK1사용, 외장 리버브 없음, 보컬녹음할 때 레이턴시 신경쓰임)


올려놓은 그림에 따라서 세팅하시면 되겠습니다.

샘플은 리퍼로 되어 있으며 (누구나 확인해볼 수 있기 때문에 리퍼로 했습니다. 지금 제가 사용하는 리즌으로도 가능합니다.) 리퍼의 특성상 이펙트 센트트랙도 일반 트랙과 동일하게 생성을 해서 라우팅으로 해주는 관계로 큐베등의 믹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개념은 동일하기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1) 인풋 모니터링을 활성화 합니다. (시퀀서에 따라서 인풋트랙이 따로 있을 수도 있고 녹음되는 트랙의 인풋 모니터링을 활성화 하실수도 있습니다. 리퍼의 경우 후자입니다)


2) AUX Send 설정을 원하는 대로 합니다. (리버브, 딜레이 등 주로 리버브가 되겠죠)

3) Send 설정을 Pre-Fader로 합니다. (다음 단계를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


4) 인풋 체널의 페이더를 최소로 합니다. (실질적인 뮤트 - 단 뮤트 버튼을 누르면 체널 입력 자체가 죽기 때문에 Send 체널로의 시그널도 죽기 때문에 이펙팅된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5)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인풋 모니터기능을 살립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믹서에서 대부분 지원을 할겁니다. 만일에 이걸 지원하지 않는다면, 얘기는 원점으로..ㅜㅜ..이경우 방법이 없습니다. 버퍼를 줄이세요)


6) 모니터링을 해보면서 적절한 이펙팅 양을 Send양으로 조절합니다.


7) 녹음을 신나게 합니다.


단, 이 때 AUX 체널에 건 이펙터의 설정은 Dry 소스는 0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Wet 소스의 경우 레이턴시가 조금 있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Dry소스의 경우 어택이 강하기 때문에 (소스와 같다고 봐야합니다 소리가 섞이긴 했지만 그래도 잘 들리죠)Dry 소스가 많이 들리면, 그냥 Asio 모니터링과 차이가 없어집니다.

고로, 오됴 인터페이스의 모니터 소리와 레이턴시가 약간 생긴 DAW의 모니터까지 같이 들리면서 딜레이가 느껴지거나, 버퍼가 낮아서 크지 않으면, 약간 페이저 걸린듯한 소리가 나게 됩니다.


Wet 소스의 경우 (특히 리버브)는 어차피 프리딜레이를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5~6ms정도의 레이턴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할 겁니다.

이상입니다.


그리고, 예전에 모 회사에서 Asio 모니터링을 할 것인가? 다이렉트 모니터링을 할 것인가?
에 대해서 Asio가 유리하다라는 글을 봤는데요.


이 경우는 연주자가 레이턴시를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전제하에는 이런 주장이 가능합니다만..
연주자가 레이턴시를 느낀다면 연주 자체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말이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미디를 입력하는 경우에 레이턴시를 약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버퍼를 키워놓고 연주를 녹음해보시면, 건반 연주자의 입력이 실제 타이밍보다 앞쪽에 많이 찍히는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건, 실제 연주자가 눌렀을 때보다 소리가 늦게 나오기 때문에 연주타이밍이 소리에 맞춰서 점점 빨라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보이고, 레이턴시가 이 이상이 되면 연주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실제 보컬의 경우 건반보다 레이턴시에 따른 체감이 더 현저하기 때문에 더욱 저 레이턴시가 요구되고, 프로 연주자일 수록 레이턴시에 민감하기 때문에 제로 레이턴시는 더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댓글